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7년 05월 07일 시작되어 총 1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이 생각은 "미세먼지 No! 마음 놓고 숨쉬게 해주세요."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이효은님의 의견정리2017.06.25

저희 조는 녹색연합에서 주최한 미세먼지 워크샵에 참여하여, 다른 시민들과 함께 미세먼지에 대한 자료와 생각들을 공유했습니다. 저희 조가 이 국민생각함을 통해서 하고자 한 것은 미세먼지 측정소의 높이 문제와 미세먼지 예경보체계와 같은 재난 대비 체계 문제였었는데, 워크샵에서도 저희 조의 생각과 유사한 의견이 나왔습니다.

 첫째로는 서울시가 발표한 이산화질소 농도와 시민들이 측정한 이산화질소 농도가 다르다는 것입니다. 이 이유는 대기를 측정하는 측정기의 높이 차이 때문입니다. 시민들은 성인 눈높이에서 대기를 측정하는 반면, 서울시가 발표에 이용한 측정기들은 대부분 옥상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2차 대화에 있는 미세먼지 측정기 위치를 찍은 사진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이것이 무엇을 의미합니까? 측정기가 건물 옥상에 있어서는 측정기로서의 제 기능을 하지 못한다는 의미입니다. 미세먼지 측정기는 시민들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존재하는 것인데, 측정기를 옥상에 설치하는 '불가피한 사정'은 도대체 무엇입니까? 시민의 안전보다 더 중요한 '불가피한 사정'은 없습니다. 환경부는 지침을 만들었으면 그 지침을 준수해야합니다. 

 두번째는 부유먼지 농도와 관련된 법률 부족입니다. 저희 조가 미세먼지 예경보체계에 대해서 변화를 요구하는 이유는 현재의 미세먼지 예경보체계로는 고미세먼지를 제대로 대비하기 어렵기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워크샵을 통해서 관리기준만 있을 뿐 아무도 거기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 부유먼지가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시민들의 건강을 위해서 지금부터라도 부유먼지에 대해서 방안을 강구해야합니다. 하지만 이 부유먼지는 시민조사 결과를 보니 편차가 너무 커서 제도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그렇다고 부유먼지를 그냥 내버려 둘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국가적으로 대비를 할 수 없다면, 시민들 개개인이 부유먼지에 대비할 수 있도록 알리는 것이 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길거리에 가다가 오존농도 전광판을 볼 수 있듯이, 부유먼지 농도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알림으로써 시민들 스스로가 이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우리 조는 지금까지 자료조사, 시민단체 관계자 인터뷰, 측정소 현장답사, 미세먼지 토론회 참가 등등 여러 활동들을 해왔습니다. 그리고 이제 마지막으로, 저희가 직접 확인해왔던 미세먼지를, 녹색연합에서 실시한 미세먼지 워크샵과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위 워크샵은 녹색연합에서 시행한 캠페인으로, 시민들이 직접 미세먼지 측정에 나서게 됩니다. 우리 조도 이 워크샵에 참가하여 실제로 조사키트를 배달받고, 아침 이른 시간에 직접 자기 집 근처의 대기질을 측정했습니다.  그리고 드디어 6월 10일 녹색연합 워크샵이 열렸고, 저희 조도 이 곳에 참가하였습니다. 저희 조는 이 워크샵에서 들었던 이야기들 중 저희 조와 관련있는 내용을 언급하고자 합니다.
 
*녹색연합과 관련된 모든 자료는 녹색연합 평화생태팀과 대전대학교 김선태 교수님께서 만드셨습니다.

(첨부파일 참고)
"1) 시민모니터링의 이산화질소 농도, 서울시 조사 보다 높게 나와


 서울시 대기환경정보에서는 실시간으로 서울시 미세먼지 농도 측정 정보를 시민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녹색연합은 시민들이 이산화질소 측정기간 동안 서울시 대기오염도 변화를 확인했다. 구별 시민모니터링 이산화질소 농도 평균값과 서울시 대기오염 조사 결과를 비교하니, 시민모니터링 결과가 더 높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마다 차이가 있지만 많게는 서울시 대기환경정보 사이트에서 제공한 이산화질소 농도보다 2배 이상 차이가 나는 곳도 있으며, 평균 10ppb 정도의 차이를 확인했다. 이러한 조사 결과의 차이는 서울시의 미세먼지 측적망이 대부분 건물 옥상등에 위치해 있는 반면, 이번 시민 모니터링은 성인의 호흡기 높이에서 조사가 이뤄졌다는 점에서 발생할 것이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서울 종로구·중구 등 17개구의 미세먼지 측정소가 지상 10~15m 높이에 설치돼 있었고 서대문구 서대문자연사박물관에 위치한 미세먼지 측정소는 지상에서 19.6m에, 마포구 마포아트센터 옥상에 위치한 미세먼지 측정소 위치는 지상에서 무려 23m 높이에 설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라는 내용이 실제 워크샵에서 들었던 이야기인데, 이는 저희 조가 1차 대화에서 이야기했던 것과 동일한 것입니다. 저희 조의 1차 대화에서도 측정소의 높이가 높다는 것을 강조했었는데, 녹색연합과 같은 시민단체들 역시 저희 조와 생각이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이 표는 서울시에서 발표한 이산화질소 농도와 시민들이 직접 측정한 이산화질소 농도를 비교한 것으로, 표를 보시면 알겠지만 서울시 발표 수치와 시민조사 수치의 차이가 상당히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원인은 위에서도 말했듯이 '미세먼지 측정기의 높이' 때문입니다. 시민들은 성인 눈높이에서 측정했지만, 서울시가 발표한 수치들은 대부분이 건물 옥상에 있는 측정기가 측정한 값이기 때문입니다. 
이 표와 워크샵을 통해서 지침을 만들었으면 그 지침을 준수하라면서 측정기 높이를 낮추라고 요구한 저희 조의 의견이, 저희 조 뿐만의 생각이 아니라 많은 수의 시민들의 생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환경부는 저희 의견(시민들의 의견)을 받아들여서 시민들도 납득할 수 있는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측정소의 높이를 낮추어야 합니다.

"2) 총부유먼지(TSP : Total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농도

이번 조사에서 시민모니터링단은 이산화질소와 함께 지역별 미세먼지 농도의 경향을 확인하기 위해 총먼지조사를 함께 진행하였다. 우리나라의  먼지에 대한 대기환경기준은 시행 초기에 TSP를 환경기준물질로 운영하다, 1995년부터 PM10이 추가되어 총부유먼지(TSP)와 같이 운영되었고, 2001년부터 PM10만 적용되고 있다. "당시 총먼지 관리 기준은 24시간평균 300㎍/ ㎥ 였다."

최진수 등(1998)은 총먼지의 60~70%를 차지하는 물질이 PM10으로 밝히고 있으며 연구에 따라 총먼지 PM10의 비율을 80% 이상으로 보기도 한다. 총먼지 농도가 높을수록 미세먼지 농도가 높다는 것을 예측 할 수 있다.

미세먼지 시민모니터링이 진행되던 14일과 15일은 날씨가 쾌청하고 바람이 많이 불었다. 특히 13일, 모니터링 전날은 바람이 많이 불고 비까지 내려 대기가 평소보다 깨끗한 것을 느낄 수 있을 정도였다. 다만, 조사 첫날이 둘째날보다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것으로 예보 되었다. 시민모니터링 결과 역시, 미세먼지 농도가 높다고 예보된 일요일이 월요일보다 총먼지 농도가 전반적으로 높게 확인 되었다.

현재 법률로 총먼지에 대한 관리기준을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지만, 총먼지 농도의 경향을 확인하기 위해 총먼지가 대기질 관리 항목에 포함되어 있던 때의 관리기준, 24시간 평균농도 300㎍이상인 지역을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24시간 평균농도 300㎍를 넘는 조사지점은 총 13곳이었으며 모두 조사 첫날에 해당했다."

"총먼지 농도가 가장 높은 곳은 남영역 인근으로 612.4μg, 미아사거리 교차로 인근에 위치한 송중초등학교가 575μg이었다. 주변에서 아파트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 길음뉴타운이 482.6μg, 역시 주변에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강남역 5번 우성5차아파트 387.8μg 으로 확인 되었다." "

저희 조가 두번째로 말하고 싶은 부분은 총부유먼지 농도 부분중에서도 '총먼지 관리 기준은 24시간평균 300㎍/ ㎥' 이 부분입니다. 이미 이 300이란 수치를 넘은 곳이 한두군데가 아닌데, 왜 아직도 정부는 법률로 총먼지에 대한 관리기준을 규정하고 있지 않을까요?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이 표는 시민들이 측정한 부유먼지 농도입니다. 표를 보시면 부유먼지 농도는 그 변화폭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워낙 변화폭이 크기에 법률로써 관리기준을 정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것 같기는 합니다. 하지만 관리기준을 300㎍/ ㎥으로 잡은 것은 이 농도부터 사람들의 건강에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일 것인데, 그렇다면 법률로써 관리기준을 정하기는 어렵다 하더라도, 적어도 관리기준보다 더 높은 수치의 먼지 농도를 가진 곳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현재 부유먼지 농도 높음' 등과 같이 알리기라도 해야하지 않을까요? 길을 가면서 오존 농도가 적힌 전광판을 볼 때가 자주 있는데, 이 오존 농도처럼 농도가 높은 날 사람에게 알린다면 우리 시민들이 그에 대해 어느정도 대비는 할 수 있지 않을까요? 그래서 저희 조는 
'적어도 부유먼지 농도가 높은 날에는 부유먼지 농도가 높다는 것을 시민들에게 알리는 방안을 마련하자'라는 주장을 하고 싶습니다. 워낙 변수가 많아 국가적인 대비가 어렵다면, 사람들 개개인이 대비할 수 있도록 알리는 것이 그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