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님의 의견정리2021.11.24
□ 아이디어를 제안 및 대화에 참여해주신 참여자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주요 제안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o 참여자 수 : 16명(댓글 참여 14명, 아이디어 제안 4명, 대화 참여 2명)
□ 주요 제안 내용
< 생각의 탄생 단계 >
o 민관 협조를 통해 외식업체가 국내산 식재료를 공동구매 할 수 있도록 지원 방안 필요
o 외식업체가 외국산에 비해 품질이 좋은 국내산 신품종 농산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 등 필요
o 외식업체가 실질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국내산 식재료 구매 시 세제 지원 또는 위생 점검 등 면제 조치 필요
o 국내산 식재료 이용하는 음식점의 매출이 늘어나도록 소비자의 인식 개선을 유도하는 캠페인 필요
o 국내산 식재료 이용하는 음식점에 대한 인증, 지정 제도 운영 및 홍보 필요
< 생각의 발전 단계 >
o 식자재 직거래가 활성화되면 외식업체와 소비자의 편익은 증가할 수도 있으나 중간 유통단계 종사자의 일자리나 소득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o 마을 단위의 소규모 농산물 판매장 활성화를 통해 농촌의 소득 증대와 소비자의 비용 절감 가능
- 마을 단위의 잉여 농산물 판매 촉진을 위해 지자체 차원의 홍보 필요
□ 아이디어를 제안해 주신 참여자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주요 제안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안 내용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아이디어가 있으시거나, 새로운 아이디어가 있으신 분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o 참여자 수 : 16명(댓글 참여 14명, 아이디어 제안 4명)
□ 주요 제안 내용
o 민관 협조를 통해 외식업체가 국내산 식재료를 공동구매 할 수 있도록 지원 방안 필요
o 외식업체가 외국산에 비해 품질이 좋은 국내산 신품종 농산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 등 필요
o 외식업체가 실질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국내산 식재료 구매 시 세제 지원 또는 위생 점검 등 면제 조치 필요
o 국내산 식재료 이용하는 음식점의 매출이 늘어나도록 소비자의 인식 개선을 유도하는 캠페인 필요
o 국내산 식재료 이용하는 음식점에 대한 인증, 지정 제도 운영 및 홍보 필요
==========================================================================
우리나라 외식산업은 최근 코로나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여파로 큰 위기를 맞고 있지만
그간 산업 전체의 매출액, 사업체수 등 양적인 측면에서는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습니다.
* 외식산업 매출액(통계청) : ('10) 67.6조원 → ('12) 77.3 → ('14) 83.8 → ('16) 118.9 → ('18) 138.2 → ('19) 144.4
* 외식산업 사업체수(통계청) : ('10) 58.6만개 → ('12) 62.4 → ('14) 65.0 → ('16) 67.5 → ('18) 70.9 → ('19) 72.7
그러나 낮은 진입장벽(위생교육 이수 후 영업 신고만 하면 영업 가능)과 식재료비, 인건비 등 비용상승으로 인해
개별 외식 사업체의 매출액은 수익성은 지속 악화되어왔습니다.
* 영업이익률 : ('10) 23.0% → ('12) 16.1 → ('14) 14.3 → ('16) 11.8 → ('18) 9.1 → ('19) 8.8
이러한 수익, 비용구조로 인해 개별 외식사업체는 비용 절감을 위해 보다 값싼 식재료를 구매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지만,
우리나라 농산물의 판로 확대와 우수 식재료 이용을 통한 외식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외식업체의 국내산 식재료 이용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합니다.
* 외식업체의 수입 식재료 사용 이유(중복응답,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
- 가격 저렴(59.6%), 가격변화 적음(19.4), 물량확보 용이(12.2), 안전해서(3.0), 맛 품질 우수(3.7), 프리미엄 제품생산(0.3), 무응답(1.6) 등

* 자료: 한국외식산연구원(2021)
외식업체가 국내산 식재료 이용을 확대하여 외식산업과 농업이 함께 발전할 수 있는 아이디어가 있으신 분께서는 참여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