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4년 09월 25일 시작되어 총 12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동해어업관리단 무궁화7호] 해파리 이상증식에 의한 국민 피해 증가에 따른 해결방안 모색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해양수산부님의 의견정리2024.11.04
타국 사례를 참고하고 배우고 해파리 성분, 분석을 위한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수익 창출을 적극적으로 연구 개발하면 좋겠습니다.
투표 결과, 정부차원에서 해파리를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 및 연구(또는 지원)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97.5%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 2.5%)로 과반수를 차지하였습니다. 투표 결과에 따라 구체적으로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합니다. 자유롭게 제안 및 토론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안녕하십니까. 해양수산부 동해어업관리단 무궁화7호입니다.
올해 하절기 해파리의 이상증식으로 국민 여러분, 특히 어업인분들이 많은 피해를 입었습니다.
전문가들은 해파리의 이상증식 원인 중 하나로 수온상승을 꼽고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가 따뜻한 물을 좋아하는 해파리의 번식환경을 도와 그 활동 범위를 더욱 확장 시키고 있는 지금, 국민의 안전과 어업인의 생계가 위협받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그 해결방안을 좀 더 구체적으로 모색하기 위해 국민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문제현황
 - 2024년 하절기 <노무라입깃해파리>, <보름달물해파리>의 이상증식
 - 해수욕장 내 해파리 쏘임사고 다수 발생(500건 이상)
 - 해파리 떼가 바닷물을 냉각수로 이용하는 원전 발전소의 취수구를 막아 가동을 중지시키는 사고 발생
 - 조업 중 해파리 작업 지연 및 일부 정치망 어장 대량유입으로 어획물 손상 등 어업작업 어려움 가중

    * 하루 20~30톤 정치망 유입으로 일시적 철거 어장 발생
 - 자망, 조망, 주목망 등 조업 시 해파리 포획량이 많아 조업 피해 발생 및 어획량 감소, 어획물 상품성 저해 호소
 
□ 현재 추진 중인 정책
 - 「해파리 피해방지 종합대책」 실시 및 「해파리 대량발생에 의한 어업 및 해수욕객 쏘임 피해」 위기대응 매뉴얼 운영
   * 해파리 증식 모니터링, 해파리 신고 웹 운영, 부착유생(폴립) 제거, 해수욕장 유입방지막 설치 등
 
□ 해결방안 모색
 • 해파리를 모니터링하고 유입방지막을 설치하는 등 1차원적 대응 방안을 넘어, 새로운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방안 모색 및 연구(또는 지원) 필요
 - 잘게 절단해 어류의 사료로 활용
 - 해파리를 포획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통로 마련
 - 
콜라겐을 이용한 영양 보충제, 식품 등 개발에 적극 지원
   * 우리나라도 해파리에서 카본을 생산해 소재 연구소 및 수요처의 샘플용으로 판매하거나 자치단체-기업이 함께 콜라겐 생산에 나선 사례 등도 있으나 규모가 작음
 
□ 기대효과
 - 안전한 바다환경 조성, 자원 활용 및 우리 수산물의 원활한 공급 

□ 참고사례
 - 미국 서부에서는 과증식한 해파리를 잡아 아시아로 수출하여 수익 창출
 - 미국 조지아대(University of Georgia)는 농무부로부터 지원금을 받고 해파리 성분을 분석ㆍ 연구하여 식품 개발 중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