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4년 08월 22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전주기상지청 기상관측차량 운영 방안 설문조사 결과 알림
<전주기상지청 기상관측차량 운영 방안 설문조사 결과 정리>

○ (인지도) ’21년부터 기상청에서 운영 중인 기상관측차량에 대해 대부분의 응답자가 인지하고 있으나, 인지도 향상을 위해
    보도자료, SNS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홍보 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
 
※ 인지도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보도자료 등 언론 홍보(42.1%), SNS홍보(31.6%), 전시회 활용 홍보(24.6%) 순으로 응답
 
○ (활용분야) 태풍, 호우, 대설 등 위험기상관측 외에 활용 가능한 분야로 재난현장 지원, 폭염관측, 도로노면관측, 지역현안 연구
    다양한 분야에서 고루 필요하다고 응답
 
※ 위험 기상 외 필요 분야로 재난현장 특별기상관측(32.7%), 폭염관측(26.9%), 도로노면관측(21.2%), 현안 해결 연구 협력(18.3%) 순으로 응답
 
○ (활용강화) 학계, 연구기관, 지방자치단체 등 관련기관과 협업하여 지역 현안 연구 등 기상관측차량 활용 증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
 ※ 관련기관 협업(43.9%), 관측장비 추가 탑재(33.3%), 전문가 양성(21.1%) 순으로 응답
 
○ (관측요소) 지상·고층 관측 외에 필요한 추가 관측요소로 도로 결빙 대응을 위한 도로노면관측과 기후변화 감시를 위한 특정지역 정기목적관측
    중요하다는 의견이 다수



국민 여러분의 의견은 전주기상지청 기상관측차량 운영에 적극 반영하여 위험기상 및 재해,재난 시 조기 대응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smiley
 
0/1000
[전주기상지청] 국민체감 정책 추진을 위한 설문조사

기상청에서는 정부업무평가 기본법에 따라 매년 자체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전주기상지청에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추진을 위하여 성과지표작년 주요정책과제
선보완 사항에 대한 대국민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오니,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2025년 전주기상지청 주요 업무
기상재해 대응 기반 강화 및 국지예보연구 활성화로 도민안전 지원
수요자별 현장중심형 맞춤형 정보제공 확대로 사각지대 해소
지역현안 문제 해결 및 지역특화 서비스 운영으로 도민 편익 증진
기후변화 대응 정책 지원 및 협력 확대 기후위기 적응 대책 지원
국립전북기상과학관 운 활성화 및 계층별 기후 참여 프로그램으로 기후변화 이해 확산

전주기상지청 성과지표

성과지표 : 호우특보 선행시간(방재관련기관 및 주민 대응 시간)
국민 피해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호우에 대해 보다 빠른 특보를 발표하여 방재 관련기관과 주민의 대응시간을 확보하고자 함
【측정산식】
    - 호우특보 선행시간 = {(∑ (호우특보 도달시각 - 호우특보 발표시각) + ∑ 선제적 특보 선행시간)} ÷
                              (당해년도 총 호우특보 발표건수
)

 
호우특보 선행시간 목표치 배점
기준1 기준2 점수
130분이상 5년 평균 130% 이상 10
110분이상 5년 평균 125% 이상 9
90분이상 5년 평균 120% 이상 8
70분이상 5년 평균 115% 이상 7
50분미만 5년 평균 110% 이하 6

성과지표: 전주기상지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활용도
지역민의 안전 및 생활 편익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전주기상지청에서 생산·제공하는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의 정책 및 서비스 활용도를 높이고자 함

[측정산식]
  -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활용도(점) = (①x0.11)+(②x0.34)+(③x0.27)+(④x0.28)

    ※ i=4개 항목, N=제공정보의 활용 건수, W=가중치
 
①(협력) : 공식문서로 확인되는 협업계획, 업무협약, 협의회 등 협력 실적
②(기술지원): 공식문서로 확인되는 기술이전, 활용지원, 기술자문, 현장지원, 교육 등 기술지원 실적
③(활용): 관계기관 사업계획(재난대책, 장비이전계획 등), 보고서(정책보고서, 성과보고서, 재해보고서 등) 등으로 확인되는 정책 수립·활용 실적
④(홍보): 관계기관 보도자료, 공식 누리집, 공식 SNS, 언론사 등에 게재된 홍보 실적
 
 
‘24년도 주요정책과제 개선·보완 사항
평상시 관계기관과의 소통 및 맞춤정보 제공 부족
전북특별자치도 맞춤형 기상기후서비스 부족
국립전북기상과학관 재방문이용객 유도를 위한 대표 프로그램 및 중장기 운영계획 필요
 
 
 
 
 
 

총233명 참여
전주기상지청 '국민 체감형 성과지표' 발굴을 위한 추가 의견수렴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 감사합니다.smiley

1차 의견수렴 결과 결과,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활용도" 목표에 대해
전년대비 122%성장(37%), 전년대비 121%성장(34.8%), 전년대비 126%성장(28.3%) 순으로
응답되었습니다.

 
50%가 넘는 답변이 없는 관계로 1, 2순위 중 추가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반영하고자 하오니,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1차 설문조사]

2022년 관리과제명 : 안전한 전라북도 구현을 위한 맞춤형 기상기후서비스 강화
관리과제를 위한 2022년 전주기상지청 업무 주요내용
호우, 대설 등 지역방재 공동대응 강화
- 예보관 역량 강화
- 분야별 맞춤형 기상정보 제공
- 위험기상정보 전달 및 소통체계의 다양화
- 고품질 기상관측자료 확보
지역 기후변화 대응 지원
- 수요자 맞춤 기상융합정보서비스 개발로 정책수립 의사결정 지원
- 기상기후정보 확대 제공 및 관계기관 협력 강화
 
전주기상지청에서는 2022년 관리과제 도달을 위한 업무를 얼마나 잘 수행했는지에 대한 평가를 위해 다음의 지표를 활용하고자 합니다.
 
(전국 공통지표) 호우특보 선행시간
국민의 안전한 생활을 위하여 자연재해 중 국민 피해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호우에 대해 보다 빠른 특보를 발표하고자 호우특보 선행시간을 지표로 선정, 특보 운영의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함

o 호우특보 선행시간(시간) = {((호우특보 도달기준시간 - 호우특보 발표시간) + 선제적 특보 선행시간)} ÷ (전체 호우특보 발표건수)
 
(전주지청 특성화지표)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 활용도
전주기상지청에서 생산·제공하는 기상기후정보가 관계기관의 주요정책 결정에 기여한 정도를 평가
o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활용도() = +++
- 지표정의: 생산된 기상기후정보가 관계기관 주요정책 결정에 기여한 정도를 측정
- 산출식: 업무협약 및 협업계획×0.11 +
            
보도자료, 공식홈페에지, 공식SNS 등 홍보실적×0.28+

            ③관계기관 정책 수립 및 활용 실적×0.27 +
           
기술이전 및 자문×0.34

항목별 가중치는 2019년도 성과관리 운영 및 컨설팅 용역사업의 AHP 분석결과(‘19.3.)근거하여 객관적으로 적용

위의 지표 중 전주지청 특성화 지표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 활용도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지표가 될 수 있도록 대국민 의견을 수렴하오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총11명 참여
전주기상지청 '국민 체감형 성과지표' 발굴을 위한 의견수렴

기상청에서는 정부업무평가 기본법에 따라 매년 자체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전주기상지청에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지표를 발굴하기 위하여 관리과제별 성과지표 대한 대국민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오니,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2022년 관리과제명 : 안전한 전라북도 구현을 위한 맞춤형 기상기후서비스 강화
관리과제를 위한 2022년 전주기상지청 업무 주요내용
호우, 대설 등 지역방재 공동대응 강화
- 예보관 역량 강화
- 분야별 맞춤형 기상정보 제공
- 위험기상정보 전달 및 소통체계의 다양화
- 고품질 기상관측자료 확보
지역 기후변화 대응 지원
- 수요자 맞춤 기상융합정보서비스 개발로 정책수립 의사결정 지원
- 기상기후정보 확대 제공 및 관계기관 협력 강화
 
전주기상지청에서는 2022년 관리과제 도달을 위한 업무를 얼마나 잘 수행했는지에 대한 평가를 위해 다음의 지표를 활용하고자 합니다.
 
(전국 공통지표) 호우특보 선행시간
국민의 안전한 생활을 위하여 자연재해 중 국민 피해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호우에 대해 보다 빠른 특보를 발표하고자 호우특보 선행시간을 지표로 선정, 특보 운영의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함
o 호우특보 선행시간(시간) = {((호우특보 도달기준시간 - 호우특보 발표시간) + 선제적 특보 선행시간)} ÷ (전체 호우특보 발표건수)
 
(전주지청 특성화지표)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 활용도
전주기상지청에서 생산·제공하는 기상기후정보가 관계기관의 주요정책 결정에 기여한 정도를 평가
o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활용도() = +++
- 지표정의: 생산된 기상기후정보가 관계기관 주요정책 결정에 기여한 정도를 측정
- 산출식: 업무협약 및 협업계획×0.11 +
            
보도자료, 공식홈페에지, 공식SNS 등 홍보실적×0.28+

            ③관계기관 정책 수립 및 활용 실적×0.27 +
           
기술이전 및 자문×0.34

항목별 가중치는 2019년도 성과관리 운영 및 컨설팅 용역사업의 AHP 분석결과(‘19.3.)근거하여 객관적으로 적용

위의 지표 중 전주지청 특성화 지표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 활용도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지표가 될 수 있도록 대국민 의견을 수렴하오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총46명 참여
[전주기상지청] 국민 체감형 성과지표 발굴을 위한 의견수렴

기상청에서는 정부업무평가 기본법에 따라 매년 자체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전주기상지청에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지표를 발굴하기 위하여 관리과제별 성과지표에 대한 대국민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오니,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관리과제명 : 기상재해로부터 안전한 지역 구현을 위한 기상기후서비스 강화

관리과제 주요내용
지역방재 공동대응 강화
- 예보관 역량 강화
- 분야별 맞춤형 기상정보 제공
- 위험기상정보 전달 및 소통체계의 다양화
- 고품질 기상관측자료 확보
지역 기후변화 대응 지원
- 전북 농업인 영농기상기후정보들에서 콜서비스 최적화 연구
- 기상기후정보 확대 제공 및 관계기관 협력 강화

성과지표(안)
1번.
전북지역 기상기후정보의 관계기관 정책활용도() = +++④
-
지표정의: 생산된 기상기후정보가 관계기관 주요정책 결정에 기여한 정도를 측정

- 산출식관계기관 정책 수립 및 활용실적×27% 
            
기술이전 및 자문×34%
            
업무협약 및 협업계획×11% 
             
보도자료 등 홍보실적×28%
2번.
지역 맞춤형 기상기후정보서비스 대외협력지수() = +++④
- 지표정의: 협업 중심의 맞춤형 기상기후서비스 개발 및 서비스 확산 정도를 측정
- 산출식업무협약×40% 
              ②관계기관과의 협의회, 간담회 등 활동×30 

              ③협업을 통한 서비스 개발 실적×10% 
              ④보도자료 등 홍보실적×20%

 
 

 

총37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