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4년 11월 23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귀산촌인 확대를 위한 주요 정책 추진 사항 결과
산촌 및 지역 소멸에 대응하고 생활인구 유입 확대 등을 위해 귀산촌인에 대한 정책 추진에 필요한 사항을

확인한 바,

귀산촌인 정착을 위한 창업이나 주택구입 자금 지원, 귀산촌 교육 전문기관의 확대 및 양질의 귀산촌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의 순으로 의견이 나와 추후 귀산촌 정책 추진 시 적극 반영하여 추진할 계획입니다.
0/1000
귀산촌인 확대를 위해 중요한 정책에 무엇이라 생각하나요?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인구감소가 시작되고 수도권 집중도가 심화되어 수도권 과밀, 산촌 과소화 등 지방소멸 시대
직면하고 있습니다.

* 2020년부터 "인구의 데드크로스현상"과 총인구의 감소로 "인구정점"을 기록('22년 국토연구원)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조사한 결과, 산촌 지역 466개 읍면 중 90.3%인 421개 읍면이 소멸 고위험지역에 해당하며, 

행정안전부의 인구감소지역 89개 시군 중 산촌 읍면이있는 시군이 76%인 75개 시군에 354개 산촌 읍면이 해당되는 등

산촌과 지방이 매우 어려운 상황에 있습니다.

산촌은 우리나라 국토 면적의 약 43%를 차지하나, 인구는 전국의 약 2.6% 수준이며, '23년 기준 약 135만명으로 현재 

추세를 감안할 때 2050년까지 약84만명 수준으로 감속할 것으로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귀산촌 인구도 증가추세였다가, 2022년에는 전년대비 감소 추세로 전환하고 2023년에는 전년대비 10.8%

감소한 4만 9천명 수준입니다.

이에, 산촌과 지역이 살아나기 위해서는 귀산촌 인구 유입, 생활인구 확대 등 중요한 내용이 많겠지만

무엇보다도 귀산촌인 확대가 기본적으로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에, 귀산촌인 확대를 위해 중요한 정책은 무엇이라 생각하나요?

총19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