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4년 11월 04일 시작되어 총13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FTA(EPA) 농업분야 협상 대응에 대한 의견수렴
이 생각은 "FTA(EPA) 농업분야 협상 대응에 대한 의견수렴"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님의 의견정리2024.11.20
투표에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FTA(EPA) 농업분야 협상 대응과 관련하여 다음의 3가지 중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과 관련하여,
"우리 농산물의 수출 확대 및 활성화를 위한 노력과 상담, 홍보 등 정책적 지원"이 가장 많은 표를 받은 것으로 확인됩니다.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탄생단계에서 수렴된 의견을 바탕으로 투표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FTA(EPA) 농업분야 협상 대응과 관련하여 다음의 3가지 중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무엇인지 보기에서 선택해주세요!

1. 우리 농산물의 수출 확대 및 활성화를 위한 노력과 상담, 홍보 등 정책적 지원
2. 우리 농업에 미칠 부정적 영향과 피해 등을 감안한 이해관계자 소통
3. 먹거리 안전과 관련된 위생•검역(SPS) 분야 협상에 있어서 신중한 대응 및 전문성 제고 등 노력

-------------------------------------------------< "탄생" 단계 참고 >----------------------------------------------------------

► 현재 우리나라는 총 21건(59개국)의 FTA가 발효 중이며, 인도, 칠레, 영국과의 FTA 개선협상, 몽골, 조지아, 태국과의 EPA* 협상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경제동반자협정(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EPA) : FTA의 한 형태로 시장접근은 상대국 수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유연하게 접근하되, 공급망, 디지털 등 新 통상규범 관련 협력요소를 강조하는 통상협정

농식품부는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최대한 반영하고 농식품 수출시장 확대를 위해 전략적으로 협상에 임하고 있습니다.

► 이와 관련하여 다음의 주제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자 합니다.


 1. 현재 추진 중인 FTA(EPA) 관련 농업분야 대응 방향에 대한 의견
 2. 기체결 FTA를 활용하여 농축산물 수출시 겪는 애로사항 및 수출 확대를 위해 필요한 정책 등에 대한 의견
 3. 그 외 FTA(농업부분)에 관한 자유로운 의견

자유롭게 의견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투표 결과
총 참여인원 : 10│ 실시기간 : 2024-11-12~2024-11-19
우리 농산물의 수출 확대 및 활성화를 위한 노력과 상담, 홍보 등 정책적 지원 4명(40%)
우리 농업에 미칠 부정적 영향과 피해 등을 감안한 이해관계자 소통 3명(30%)
먹거리 안전과 관련된 위생•검역(SPS) 분야 협상에 있어서 신중한 대응 및 전문성 제고 등 노력 3명(30%)
  • 참여기간 : 2024-11-12~2024-11-19
  • 관련주제 : 농림·해양·산림>기타
  • 그 : #FTA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