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4년 11월 19일 시작되어 총16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국립종자원 전북지원]주요 식량작물 종자의 안정적 생산·관리와 공급 확대를 위한 수분저감장치 도입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님의 의견정리2024.12.06
투표 결과 투표 전원이 2025년 콩 수확단계부터 수분저감장치를 콩 보급종 농가에 보급하는 것에 찬성하였습니다.
종자생산·보급체계의 목적
 - 주요 식량작물 종자의 안정적 생산·관리와 공급 확대를 위한 원원종, 원종, 보급종(채종포용)등 채종단계별 성능관리, 보증, 유통 등 체계적인 관리로
   고품위 우량종자를 농가에 보급, 소득향상을 도모하며 식량 자급률 제고에 목적을 둠

종자생산시 종자 수분 관리의 문제와 수분저감장치 도입의 필요성
 - 주요 식량작물인 콩, 밀 등 수확 및 수매시기에 장마철이 겹치는 등 많은 강우로 종자 수분관리에 어려움이 많으며,
   건조 후 톤백에 종자를 보관시 수분이 올라가서 발아율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톤백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수분저감장치 도입이 필요

추진내용
 - 수분저감장치를 톤백에 꽂아 팬과 바람을 이용하여 톤백 안으로 바람을 불어넣을수 있으며, 시간당 0.1% 수분을 저감시킬수 있음
 - 수분저감장치를 사용하여 시간과 노동력 감소 및 수분검사 불합격률을 줄이고 종자의 변질을 막아 고품질 우량종자를 농가에 보급할 수 있음

추진성과
 - 2022년 시범적으로 수분저감장치를 콩 보급종에 사용하여 콩 보급종 수매목표량 100% 달성으로 공급확대 및 채종농가 소득 보전

수분저감장치를 종자생산에 사용하는 방안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을 적어주세요.

<수분저감장치를 종자생산에 사용하는 국민생각함>

주요 식량작물 종자의 안정적 생산·관리와 공급 확대를 위한 원원종, 원종, 보급종(채종포용)등 채종단계별 성능관리, 보증, 유통 등 체계적인 관리로
고품위 우량종자를 농가에 보급, 소득향상을 도모하며 식량 자급률 제고를 위하여 수분저감장치를 사용하는것은 꼭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주요 식량작물인 콩, 밀 등 수확 및 수매시기에 장마철이 겹치는 등 많은 강우로 종자 수분관리에 어려움이 많으며,
건조 후 톤백에 종자를 보관시 수분이 올라가서 발아율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톤백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수분저감장치 도입이 필요하며, 농가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사용화 시기를 궁금해 하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또한 콩 재배농가에서는 콩 수분저감장치 사용을 원하며, 시간당 0.1% 수분을 저감시킬수 있는 장치는 꼭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2025년에는 시범적으로 수분저감장치를 보급종 농가에 대여하여 콩 보급종 수매목표량 100% 달성을 목표로 공급확대 및 채종농가 소득 보전에 앞장서고자 합니다.

2025년 콩 수확단계 부터 수분저감장치를 콩 보급종 농가에 시범적으로 보급하는 방안에 대한 찬반 투표를 실시합니다.
투표 결과
총 참여인원 : 8│ 실시기간 : 2024-12-04~2024-12-05
2025년 콩 수확단계 부터 수분저감장치를 콩 보급종 농가에 보급하는것에 찬성한다. 8명(100%)
  • 참여기간 : 2024-12-04~2024-12-05
  • 관련주제 : 농림·해양·산림>농업·농촌
  • 관련지역 : 전북특별자치도>정읍시
  • 그 : #콩 #수분 #종자 #수분저감장치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