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4년 06월 10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교육지원청 센터 중 비상벨 설치 우선 순위와 예산확보 방법에 관한 설문을 참고하여 정책을 결정하고 실행함
아래와 같이 안건을 제안하고 설문결과를 받음.
------------------------------------------
1. 위센터: 청소년보호법에 의한 만 19세 미만의 학령기 청소년과 해당 청소년의 보호자, 담당 교원을 대상으로 자문 지원. 관내 초·중·고등학교의 상담활동 및 심리교육 지원과 치료기관 연계활동, 위기학생에 대한 상담 및 자문 등을 주요 업무로 함. 학교 교직원 대상 상담역량강화 연수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함.
2. 복지센터: 교육복지 전문인력이 배치되지 않은 학교의 교육취약 학생 사례관리 및 맞춤형 교육복지 서비스 제공. 지역기관을 대상으로 공모 선정하여 서울특별시교육청이 위탁 운영함.(자치구별 1개소씩 운영, 총 25개소 운영 중)
3.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육대상자 진단, 평가, 학교 배치업무 담당. 특수학급 미설치교 순회교육지원, 진로·직업교육 지원, 특수교육 연수 및 장애인권지원단 운영 등의 업무 수행

- 위 센터들은 업무 특성상 외부인의 출입이 잦은 곳이며, 최근 상담시간 중에 폭력적인 행동, 폭언 등 학생의 돌발 행동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임. 
- 상담실 등 센터 내에서 위급 상황 발생 시 상담교사 및 상담을 위해 방문한 학부모와 학생의 안전을 보장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일 가능성 증대  

1. 위 센터 중 비상벨 우선적 설치가 필요한 우선 순위
2. 비상벨 설치 예산 확보 방법에 관해 투표 부탁드립니다. 
------------------------------------

1. 설문 조사 결과 비상벨 설치 우선 순위는 1순위: 위센터 , 2순위: 복지센터,  3순위: 특수교육지원센터
2. 비상벨 설치 예산 확보 방법으로는 1순위: 관할 결찰서와 협업하여 비상벨 지급 받음, 2순위: 각 센터 예산 절감하여 예산 확보, 3순위: 연말에 교육청 자체 예산 추가 확보의 결과를 얻었음.

위 결과를 참고하여 2025년도 예산요구서 수립 시 반영할 예정임.
 
0/1000
[중부교육지원청 교육협력복지과]위센터, 복지센터, 특수교육지원센터 중 비상벨 설치 우선순위와 예산확보 방법에 관한 의견을 구합니다.

1. 위센터: 청소년보호법에 의한 만 19세 미만의 학령기 청소년과 해당 청소년의 보호자, 담당 교원을 대상으로 자문 지원. 관내 초·중·고등학교의 상담활동 및 심리교육 지원과 치료기관 연계활동, 위기학생에 대한 상담 및 자문 등을 주요 업무로 함. 학교 교직원 대상 상담역량강화 연수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함.
2. 복지센터: 교육복지 전문인력이 배치되지 않은 학교의 교육취약 학생 사례관리 및 맞춤형 교육복지 서비스 제공. 지역기관을 대상으로 공모 선정하여 서울특별시교육청이 위탁 운영함.(자치구별 1개소씩 운영, 총 25개소 운영 중)
3.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육대상자 진단, 평가, 학교 배치업무 담당. 특수학급 미설치교 순회교육지원, 진로·직업교육 지원, 특수교육 연수 및 장애인권지원단 운영 등의 업무 수행

- 위 센터들은 업무 특성상 외부인의 출입이 잦은 곳이며, 최근 상담시간 중에 폭력적인 행동, 폭언 등 학생의 돌발 행동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임. 
- 상담실 등 센터 내에서 위급 상황 발생 시 상담교사 및 상담을 위해 방문한 학부모와 학생의 안전을 보장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일 가능성 증대  

1. 위 센터 중 비상벨 우선적 설치가 필요한 우선 순위
2. 비상벨 설치 예산 확보 방법에 관해 투표 부탁드립니다. 

총107명 참여
지역교육청 소속 위(Wee)센터와 복지센터, 특수교육지원센터 중 비상벨 설치가 시급한 곳 우선순위와 설치 예산 확보방법에 관한 투표

1. 위센터: 청소년보호법에 의한 만 19세 미만의 학령기 청소년과 해당 청소년의 보호자, 담당 교원을 대상으로 자문 지원. 관내 초·중·고등학교의 상담활동 및 심리교육 지원과 치료기관 연계활동, 위기학생에 대한 상담 및 자문 등을 주요 업무로 함. 학교 교직원 대상 상담역량강화 연수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함.
2. 복지센터: 교육복지 전문인력이 배치되지 않은 학교의 교육취약 학생 사례관리 및 맞춤형 교육복지 서비스 제공. 지역기관을 대상으로 공모 선정하여 서울특별시교육청이 위탁 운영함.(자치구별 1개소씩 운영, 총 25개소 운영 중)
3.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육대상자 진단, 평가, 학교 배치업무 담당. 특수학급 미설치교 순회교육지원, 진로·직업교육 지원, 특수교육 연수 및 장애인권지원단 운영 등

- 위 센터들은 업무 특성상 외부인의 출입이 잦은 곳이며, 최근 상담시간 중에 폭력적인 행동, 폭언 등 학생의 돌발 행동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임. 
- 상담실 등 센터 내에서 위급 상황 발생 시 상담교사 및 상담을 위해 방문한 학부모와 학생의 안전을 보장하기 어려운 상황임 

센터에 비상벨 설치 시 우선 순위와 예산 확보 방법에 관해 투표 부탁드립니다. 

 

총0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